1
제품평가
북경 | 상해 | 광저우 | |
---|---|---|---|
소비자평가 |
![]() |
![]() |
![]() |
전문가평가 |
![]() |
![]() |
![]() |
소비자 패널[북경] (n=12) | 소비자 패널[상해] (n=12) | 소비자 패널[광주] (n=12) | |
---|---|---|---|
선호도 |
![]() |
![]() |
![]() |
|
|||
사용니즈 |
|
|
|
개선요소 |
|
||
|
|
| |
가격 |
|
|
|
Salesman [북경] (n=2) | Salesman [상해] (n=2) | Salesman [광주] (n=2) | |
---|---|---|---|
선호도 |
![]() |
![]() |
![]() |
|
|||
사용성 |
|
|
|
요구사항 |
|
|
|
예상고객 |
|
|
|
예상가격 |
|
|
|
소비자 패널 (n=36) | 전문가 패널 (n=6) | |
---|---|---|
선호도 |
![]() |
![]() |
|
||
사용니즈 |
|
|
부정평가 |
|
|
개선희망 |
|
|
예상타겟 |
|
|
예상가격 |
|
|
2
제품이용 관련 시장 환경
- 공기청정기 시장 환경
- 차이나데일리(China Daily)는 지난 10 년간 베이징(北京), 상하이(上海), 광저우(广州) 등 도시의 폐암발생률이 10 배 증가했으며 이는 대기오염 이 주된 원인이라고 밝혔음
- 베이징의 경우 자동차 매연에 따른 오염, 상하이는 유동성 오염물질이 스모그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밝혀짐
- 베이징은 차량 홀짝제가 강제 시행되고 있으며, 대기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공장 등의 조업 활동이 전면 금지되었으며, 2015년 11~12월 최근 4년 간 북경의 PM 2.5 농도 수치가 최고조에 달하며 두 달간 PM 2.5 농도는 전년대비 두 배 이상 기록
- 중국 내 대도시 공기오염이 극심해짐에 따라 공기청정기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
- 2014년 중국 내 공기청정기 판매량은 320만 대로, 전년대비 66.7%로 증가
- 2014년 공기청정기 매출총액은 70억 위안에 달했으며, 전년대비 80%의 성장률 달성
- 2018년 공기청정기 수요량은 2014년 대비 85.31% 성장한 593만 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
('2014년 중국 공기청정기 시장보고서‘) - 공기청정기는 스모그 사태에 가장 각광받는 상품이며, 가전매장 쑤닝(苏宁)의 판매 데이터에 의하면 3,500~4,000위안의 최고급형 공기청정기의 판매가 50% 이상을 차지함
- 기타 관련 시장 환경
- 친환경 테마의 외식업, 여행업 지속적인 수요 예상
- 현재 베이징에서는 폐에 좋다고 알려진 배와 석류로 만든 생과일주스샵의 매출이 급증
- '스모그 휴일'에 베이징을 떠나면서 관광업 수요 역시 늘었으며, 베이징 시민을 위해 선보인 '스모그 건너뛰기'라는 패키지 여행상품 매출이 관광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20% 증가
- 최근 캐나다의 한 젊은 판매자는 로키산맥의 청정공기를 캔에 담아 중국에 판매하고 있으며, 초기 수출량 500캔이 나흘 만에 매진돼 2차로 4000여 캔을 수출했지만 모두 매진된 상태
- 마스크, 혈압측정기 등 헬스케어 소비재가 스모그 농도에 따라 판매량 급증
- 공기청정기 가전매장 환경
- Gumei, Suning 등 전문가전매장 및 백화점의 가전매장 등에서 다양한 공기청정기 제품이 판매됨
- 특히 북경은 진열된 제품의 수나 진열위치 등 가장 수요가 높은 제품임을 한눈에 볼 수 있음
- 중국 현지 브랜드와 수입브랜드가 저가형부터 고가형까지 다양한 제품을 출시한 가운데, 센서기능으로 온도, 습도, 오염수준을 조회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제품이 출시됨
- 고급백화점의 경우 현지브랜드보다는 수입브랜드 매장을 위주로 고가형 제품을 판매하고 있음
- 기타 관련 제품 시장 환경
- 북경은 외출시 마스크 착용이 보편화 되었으며 미세먼지를 차단하고 호흡을 도와주는 전문 방오마스크 제품이 출시됨
- 건강을 위한 생과일 쥬스샵이 쇼핑몰에 입점되어 있음
평가 및 이슈 | 전략 제안 | |
---|---|---|
H/W (bike) |
|
|
S/W (app) 및 기타 |
|
|
판매전략 |
|
|
Implication
- 중국 내 환경오염 이슈로 관련 상품의 판매 시장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 (공기청정기, 헬스케어 등)
- 특히, 북경의 경우 공기오염이 극심해 공기청정기 외 기타 소비재(오염방지 마스크) 착용도 대중화되어 있음
- 건강 관련 가전, 소비재 시장의 성장과 니치시장 형성이 가능한 상황이나, 중국 소비자의 니즈는 공기질의 ‘측정’이 아닌 ‘청정’ 기능으로 공기측정기가 니즈를 해결해 주기는 어려움
-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‘공기청정기’의 사용을 위한 보조/보완제품으로 컨셉을 공략할 필요가 있어 보임
- ‘실시간으로 공기질을 측정하여 공기청정기 사용시점이나 환기 시기를 알려줌’
- 지역별로는 대기오염이 심한 북경지역이 제품에 대한 니즈가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됨
댓글
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