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
말레이시아에서는 성인병 문제가 심각한 수준임
- 말레이시아 인구의 약 3분의 1이 과체중인 것으로 나타나며 그 중 27.2% 비만임 (IPH 2011)
- 2011년 말레이시아의 인구 중 20.8%는 당뇨 질환을 보유하고 있으며, 이는 약 260만 명인 것으로 추산됨
- 1인당 하루 칼로리 섭취 평균은 3000칼로리로 평균 성인의 권장 칼로리인 2000칼로리 보다 1000칼로리 높은 수준임
[말레이시아 성인병 현황]
[Source : Universiti Malaya, FAO, thestar]

2
연령별 당뇨병 발병률을 보면, 30대 이후로 당뇨병 환자수의 가파른 증가를 보임
- 말레이시아의 미확진 당뇨병 질환자수는 103.5만명으로 예상되어 총 당뇨병 환자수는 191.3만명 수준임
[말레이시아 vs. 세계 전체 연령대에 따른 당뇨병 유병률 비교]
[Source :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]

3
성인병 질환과 관련하여 건강 관리를 위해 건강 보조제 섭취율이 높음
- 말레이시아는 인적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단계 사업이 활성화 되어 있으며 특히, 미용, 다이어트 식품, 건강 보조제의 판매가 높음
- 주요 회사 : Amway, Herbalife, Elken, Cosway, Nu Skin 과 Zhulian Marketing 등이 있음
- 한국의 웅진 코웨이도 방판 판매 방식을 통하여, 정수기 및 공기청정기 등의 판매가 긍정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음
- 건강 보조제의 1위는 Amway (M) Sdn Bhd 로 19%의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으며, 2위는 Cerebos Sdn Bhd로 9% 수준임



4
가정에서 섭취하는 건강 보조 식품의 종류 및 기대 효능
- 면역 증진, 노화방지, 피부미용, 호르몬 생성, 다이어트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건강 보조제를 섭취하고 있음
제품 사진 | 제품 명 | 주요 성분 | 기대 효능 |
---|---|---|---|
![]() |
4LIFE TF PULS ADVANCED (타블렛 타입) | 표고버섯, 베타글루칸, 대두, 올리브잎 추출, 잎새버섯, 아가리쿠스버섯, 동충 하초 등 |
|
![]() |
ALFALFA COMPLX(타블렛 타입) | 칼슘, 나트륨, 탄수화물, 인, 식이섬유 |
|
![]() |
PROVITON(타블렛 타입) | 인삼 추출물, 멀티비타민, 미네랄, 철분, 마그네슘 등 |
|
![]() |
Elken Win IG6 Colostrum (타블렛 타입) | 송아지를 바로 낳은 소의 젖성분 |
|
![]() |
Carbonill(타블렛 타입) | Wheat-Alpha Trim–W, Citrin™, Cassia nomame, 푸코산틴, 마그네슘 등 |
|
![]() |
PhytoScience Double stemcell (과립타입) | 사과 줄기세포, 포도 줄기세포 |
|
![]() |
SNOWPhyll(과립 타입) | 눈 속에 피어난 해조류의 엽록소 |
|
![]() |
EVENING PRIMROSE OIL 1300(타블렛 타입) | EOP 씨앗, 오메가-6, GLA |
|
5
젊은 층에서는 피부 미용을 위해 콜라겐을 섭취하기도 함
- 젊은 층(20대)의 경우 건강 보조 식품 이외에 피부 미용을 위한 콜라겐 성분이 들어간 기능성 식품을 복용하고 있음
- 과립 형태로 과일 맛이 나며 간단하게 물에 타먹는 형태 및 액상 타입으로 판매되고 있음
- 주 구매 장소는 가디언, 케어링같은 약국 매장임



6
건강 보조식품을 구매하기 위한 약국 매장을 쉽게 발견 할 수 있음
- 대형 쇼핑몰 및 상가 내 다양한 브랜드의 약국 및 건강보조식품 매장이 위치해 있어 건강 보조 식품 구매를 위해 방문



7
자녀를 위한 건강 보조 식품 구매
- 자녀를 위해 비타민 및 프로바이오틱스 같은 제품을 복용하게 함
- 약국 코너에는 영유아부터 어린 자녀까지 연령에 맞는 다양한 건강보조식품이 판매되고 있음


8
허브를 활용한 건강 식품
- 자무(Jamu)는 말레이시아 허브차로 끓여서 마시는 건강 보조 식품임
- 주 재료는 생강, 강황, 계피 등을 갈아 섞어 마시며, 일부의 경우는 음식 조리 시에 향신료처럼 사용 됨
- 항산화 작용, 소화 촉진, 변비 해결 등의 효과를 기대 함

9
[자무(Jamu)의 주요 재료]




10
유기농 식품 구매
- 무슬림이 아닌 가정들의 경우 어린 자녀부터 가족 모두의 건강을 위해 유기농 식품을 구매 하기도 함
- 각종 과일, 야채, 견과류, 음료 등 다양한 식품 구입
>일반 제품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 일부 품목을 구입하는 편



11
그 외 섭취하는 건강 보조 식품
- 매장 내 건강 보조 식품으로 새 둥지 및 인삼식품이 판매 되고 있으며, 실제로 가정 내에서 새 둥지 제품을 가공하여 섭취하고 있음
- Q) 새 둥지 식품의 섭취 방법은?
- A. 가공한 뒤에 물에 타서 마심(40대 주부)
- Q) 섭취 빈도는?
- A. 그냥 물 마시듯이, 1.5L를 하루에 다 마시기도 하고, 아이들은 자주 마시지 않고 부부가 주로 마심 (40대 주부)
- Q) 기대 효과는?
- A. 체력 증진, 노화방지, 몸에 열을 내려주는 기능 등 다양한 효과가 있음 (40대 주부)



12
그 외 섭취하는 건강 보조 식품
- 요리를 할 때 넣거나, 약재로 사용 되는 재료는 아래와 같음
- 꿀 : 물에 타서 마시거나 음식 조리시 사용
- 올리브 오일 : 일반 오일 보다 더 건강하다고 인식
- 석류
- 건포도
- 울람 울라만(Ulam-ulaman): 채소 종류로 생 채소를 먹거나, 물에 끓여서 마시기도 하는데 식욕을 돋궈줌
- 통갓 알리 플러스 : 말레이시아의 경사지고 깊은 정글에서 주로 발견되는 것으로 키가 크고 호리호리한 관목의 일종
- 베탈잎(Betel leaf) : 말레이계들이 사용하는 전통적인 약재
- 라비시아 푸밀라(Labisia pumila) : 말레이계들이 사용하는 전통적인 약재
- 해바투스 사우다(Habbatus Sauda (Black Seed)): 요리할 때 사용


13
건강 보조식품 및 운동 이외에 건강 관리를 위해 조리 방법 및 식단 개선을 하고 있음
- Q) 운동 및 건강보조식품 이외 하고 있는 건강관리 방법은?
- A. 체중이 느는 것 같아 저녁 식사량을 줄이려 하고 있음 (30대 주부)
- B. 채소를 더 먹고, 고기나 소금 사용량을 줄이는 게 필요함 (20대 주부)
- C. 햄버거나 소시지같은 고칼로리 음식을 먹는 것을 줄이고 있음 (20대 주부)
- D. 유기농 과일을 먹으려고 함. 포도, 블루베리 등 아이들까지 가족 모두가 먹고 있음(30대 주부)
- Q) 건강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주방 기기는?
- A. 남편 건강을 위해 스팀기를 구입해 버섯 스프를 끓여 주기도 했음 (30대 주부)
- B. 홈메이드 주스를 만들어 먹음(30대 주부)
- C. 오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에어프라이어를 사용하고 있음 (20대 주부)
- D. 남편에게 건강식을 만들어 주기 위해 Slow cooker를 구입했는데, 음식이 맛이 없다고 좋아하지 않음(40대 주부)
- Q) 어린 자녀들의 건강을 위해 신경 쓰는 부분은?
- A. 영유아 자녀들의 경우 균형 잡힌 식단을 주려고 노력하고 있음. 아이들이 튀긴 음식을 좋아하긴 하지만 되도록이면 오일을 덜 사용하고 끓여서 먹이려고 함 (30대 주부)
- B. 단백질을 적당히 섭취하고 칼슘 보충을 위해 우유를 줌 (30대 주부)
- C. 아이들을 위해 건강 보조식품인 프로바이오틱스를 먹임 (20대 주부)
14
말레이시아의 경우 호흡기 질환으로 인해 병원을 찾는 비율이 높은 편임
- 최근 말레이시아의 도심지역에 건설현장이 늘어 남에 따라 관련 대기환경의 질이 악영향을 받고 있음
- 근접 국가인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에는 건기인 5~9월 자연발생적인 산불뿐만 아니라 농지 개간이나 팜유농장 확대를 위한 고의적인 방화로 매년 수백 건의 산불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싱가폴 및 말레이시아 지역에 대기오염도가 증가하고 있으며, 연무 피해가 발생하고 있음
임신,출산,산후기 | 20.77% |
호흡계 질환 | 12.41% |
감염 질환 | 9.40% |
외상 장애(상처, 독감염 등) | 8.29% |
순환계 질환 | 7.53% |
소화계 질환 | 6.37% |
출산후 관리 | 5.39% |
생식기 질환 | 5.22% |
종양 | 4.10% |
건강 검진 | 3.73% |
순환계 질환 | 24.71% |
호흡계 질환 | 21.70% |
특정 병균 감염 | 13.66% |
종양 | 13.62% |
소화계 질환 | 4.93% |
외상 장애(상처, 독감염 등) | 4.75% |
생식기 질환 | 4.07% |
출산후 관리 | 2.47% |
내분비계 질환 | 2.05% |
신경계 질환 | 1.83% |
15
실내 운동 기기들 보유율이 높으나 사용률은 낮은 편
- 스탭퍼, 헬스자전거 등의 운동 기기들이 사용되지 않은 채 방치 되어 있음
- Q) 가정 내에서 사용하는 헬스기기는?
- A. 과거 헬스자전거를 보유하였으나 공간도 차지하고 잘 이용하지 않아 팔았음 (40대 주부)
- B. 아이들을 돌보느라 피트니스 센터를 갈 수 없어 가끔 집에서 운동을 하기도 했으나 요즘은 거의 하지 않음 (30대 주부)
- C. 스탭퍼는 다이어트를 위해 구입하였으나 효과를 보지 못해 사용하지 않음 (20대 주부)



16
거주지 근처 헬스케어 시설 이용 증가
- 집 근처 헬스케어 시설이 확대되면서, 가정 내에서 보다는 피트니스 센터에서 운동을 함
- 일부 고급 아파트의 경우 아파트 내부에 헬스 시설이 마련되어 있음
- 여성들의 경우 헬스케어 시설에 가서 스파 및 마사지 등을 함께 이용할 수 있음
- Q) 현재 이용중인 외부 헬스케어 시설은?
- A. 남편은 콜레스테롤을 줄이기 위해 피트니스 센터를 일주일에 2회씩 가는 편임 (30대 주부)
- B. 본인은 피트니스 멤버라 트레이닝을 받고 있음. 자주는 못 가고 평일에 몇 번씩 가는 편임 (30대 주부)
- C. 일주일에 1회씩 피트니스 센터를 다녔었는데, 돈을 어느 정도 지불하면 거기에 맞춰 바디스크럽 몇 회, 마사지 몇 회, 슬리밍 몇 회 이런 식으로 맞춰서 케어를 받음 (40대 주부)
- D. 일주일에 2번 정도 사우나를 하는데 땀내고 나면 상쾌해지는 것 같음(30대 주부)
- E. 헬스케어 시설 회원은 아니지만 시간이 나고 운동이 하고 싶을 때 수영장에 가서 수영을 함 (20대 주부)




17
가전 제품 전문 판매점에서 일부 헬스케어 기기를 구매할 수 있으나 종류가 다양하게 구비 되어 있지 않음
- 매장 내에서는 베게 형 마사지기, 혈압계, 체중계 등으로 제품의 종류가 한정되어 있음
- 전문적인 의료기기는 약국에서 구입 가능 함




18
헬스케어 기기 관련 소비자 구매 태도
- Q) 가전 매장 내에서 헬스케어 관련 기기는 어떤 것이 판매 되고 있는지?
- A. 마사지기, 체지방 측정기, 체중계 등이 판매 되고 있음(가전 판매 전문가)
- Q) 소비자들이 헬스케어 기기 구입 시 어떤 요소들을 고려하는지?
- A. 작동이 용이하고, 안전한 제품 선호 (가전 판매 전문가)
- B. 여기저기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어 플러그 보다는 배터리로 할 수 있는 제품을 찾음 (가전 판매 전문가)
- Q) 그 외 소비자들이 관심 있는 헬스케어 기기는?
- A. 안마의자나 베게 타입의 마사지기의 경우 스파를 가지 않아도 집에서 마사지를 받을 수 있는 점에서 선호. 그러나 안마의자의 경우는 고가이기 때문에 고소득층에서 구입이 되는 편임 (가전 판매 전문가)
19
헬스케어 가전 매장 환경
- 가전 매장 보다는 헬스케어 기기 전문 판매점이나 일부 질병 체크용 헬스기기의 경우는 약국에서 판매 됨
- 마트 및 쇼핑몰 내부에 안마의자를 사용해 볼 수 있도록 진열해 놓은 것을 많이 볼 수 있음
- 마사지 의자의 경우 가격이 비싼 편이나 중상위 소득 가정을 중심으로 판매가 되고 있으며, 시장 내 OGAWA, OSIM이 경쟁 구도를 보이고 있음
- Osim의 경우 한류로 말레이시아에서 인기가 많은 한국 탤런트(이민호)를 광고모델로 사용하고 있음
- 한국 엔터테인먼트(드라마, 연예인, 노래 등)에 대한 관심이 높아 한국 연예인들을 활용할 경우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높힐 수 있음


20
다양해지는 실내 엔터테인먼트 환경
- 개인소득이 증가함에 따라(2010년 기준 국민 1인당 1만4700달러) 가용소득(월급에서 세금 뺀 나머지)도 늘어 말레이시아인들의 소비지출 비중은 식료품에서 통신, 서비스, 여가 활동 등으로 확대되고 있음
- 쿠알라룸푸르 지역의 최신식의 쇼핑몰이 증가하고 있어 현지인들의 방문이 높은 편임
- 일년 내내 더운 날씨로 인해 시원하고 쾌적한 쇼핑몰에 방문해 쇼핑을 즐기고 다양한 음식점에서 식사를 해결하는 비율이 높음
- “주말에는 남편과 아이를 데리고 몰에 가서 점심이나 저녁을 먹고 와요.”[가정방문, 30대주부]
- 최신식 쇼핑몰은 그 규모나 면적 측면에서도 초대형을 자랑하며, 내부의 많은 명품관이 입점해 있음
- 쇼핑몰 내, 영화관의 시설도 함께 즐기는 편임 (1인당 영화티켓 비용은 약 3천원 수준)





- 외식 비율이 높으며, 이에 따라 다양한 시간대로 운영되는 음식점의 종류도 많은 편
- 영업 시간 별로(오전만, 오후만, 저녁나절, 오전 및 오후부터 새벽까지, 24시간 등) 다양하게 운영됨
- 그 외 젊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는 엔터테인먼트
- 실내 외 야외암벽, 실내 외 서바이벌 게임, 당구장, 볼링장 등
21
다양한 디바이스를 이용해 가정 내에서 엔터테인먼트를 즐기고 있음
- 실내 엔터테인먼트 이용 환경
- TV(DBS 방송, 위성TV), 홈시어터, DVD 플레이어 및 게임기, PC, 태블릿 PC, 모바일 등의 디바이스를 활용
- 영유아 자녀들의 경우 IPod, 모바일을 통해 카툰, 게임, 유투브 등을 즐겨봄



- 음향기기의 경우는 젊은 부부 일수록 보유율이 높은 편이며 주방, 거실, 방 별로 사운드 시스템 및 음악을 들 수 있는 음향 기기 확인 가능
- 중고 및 성인 자녀들의 경우 PC에 스피커를 연결해 사용하며, 대부분 모바일을 음향기기로 사용
- 일부 음향기기에 대한 관심이 높은 소비자들은 블루투스 스피커를 통해 베이스 음향을 들을 수 있는지 체크




댓글
댓글이 없습니다.